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04

[네트워크] TCP/IP (흐름 제어, 혼잡 제어)

TCP / IP 란? 데이터가 의도된 목적지에 닿을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통신 규약이다. TCP와 IP 두 가지의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두 호스트가 교환하는 데이터와 승인 메세지의 형식을 정의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규약이다. 데이터 패킷에 일련의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데이터 손실을 찾아내서 교정하고, 순서를 재조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IP (Internet Protocol) TCP와는 달리 데이터의 재조합이나 손실여부 확인이 불가능하며, 단지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만을 담당한다. IP주소는 하드웨어 고유의 식별번호인 MAC주소와 다르게 임시적으로 다른 주체(통신사)..

CS/Network 2023.06.23

[네트워크] TCP의 3 way handshake & 4 way handshake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란? TCP는 네트워크 계층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TCP는 애플리케이션에게 신뢰적이고 연결지향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TCP는 연결형 서비스로, 신뢰적인 전송을 보장하기에 hanshaking하고 데이터의 흐름제어와 혼잡제어를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TCP의 속도는 느리다.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한다. IP는 배달을, TCP는 패킷의 추적 및 관리를 하게 된다. TCP의 3 way handshake & 4 way handshake 란? 연결을 성립하고 해제하는 과정을 말한다. 3-Way Handshake 는 TCP의 접속, 4-Way Handshake는 TCP의 접..

CS/Network 2023.06.23

[네트워크] TCP/IP 4계층

OSI 7계층 vs TCP/IP 4계층 TCP/IP 계층은 OSI 7계층을 더 단순화 시켜서 4개의 계층(Layer)로 분류하여 사용한다. OSI 7계층이 네트워크 전송의 데이터 표준을 정립했다면, TCP/IP 4계층은 이를 실제로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인 셈이다. 실제 사용되는 TCP/IP는 OSI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업적이고 실무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된 모형이다. TCP / IP의 개념 현재의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통신규약(프로토콜)의 모음이다. TCP와 IP 두 가지의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다. (2개의 계층으로 구분한다.) TCP(상위계층) 전송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나누고 포장하는 것에 관한 규약 메세지나 파일을 작은 패킷으로 나누거나 재조립하여 송수신에..

CS/Network 2023.06.23

[네트워크] OSI 7계층

OSI 7계층이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이다.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표준 모델이다. 네트워크 간의 호환을 위해 모든 시스템들의 상호 연결에 있어 문제없도록 표준을 정한 것이다. OSI 7계층은 왜 나눌까?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단계만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OSI 7계층 구조 1) 물리계층 (Physical Layer) 리피터, 케이블, 허브 등 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장비이다. 단지 데이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을 진행하는 공간이다. 즉, 알고리즘, 오류제어 기능이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

CS/Network 2023.06.20
728x90
반응형